본문 바로가기
  • 계절이 지나는 하늘에는
날쩍이/쓰다보면

124위 순교자 개요

by DOUGH 2008. 9. 15.


1984년의 103위 시성식은 한국 천주교회의 큰 기쁨이요 영광이었다. 그러나 시성식이 끝난 직후 여러 신자들은 한 가지 아쉬움과 안타까움을 토로하였다. 신해박해(1791)와 신유박해(1801)의 순교자들이 아직도 시복 시성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주교회의 200주년 기념사업위원회와 각 교구에 의해 진행되었던 순교자들의 시복 시성 노력은 1997년 주교회의 추계 정기 총회에서 “통합 추진”이 결정되면서 새로운 국면으로 들어가기 시작하였다.

관련 교구의 순교자 시복 시성 담당 신부들의 모임이 주교회의 사무처장 김종수 신부의 주재로 여러 차례 열린 끝에(1998-2000), 2001년 3월 주교회의 춘계 정기 총회는 시복 시성 통합 추진의 청구인(추진 주체)을 ‘주교회의’로 명시하고 담당 주교에 마산교구장 박정일 미카엘 주교를 선출하였다.

신유박해 200주년 기념해인 2001년 10월 18일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가 구성되어 한국 순교자들의 시복 안건을 통합적으로 추진해 온 결과, 2004년 7월 5일 시복 조사 법정을 개정하게 되었다. 주교회의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 위원장 박정일 미카엘 주교는 현재 하느님의 종 124위에 대한 문헌 증거 수집과 증인 소환 조사, 현장 조사를 마치고 시복 조사 회기 문서를 정리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하느님의 종 124위는 1791년 신해박해 3위, 1795년 을묘박해 3위, 1797년 정사박해 8위, 1801년 신유박해 53위, 1814년의 1위, 1815년 을해박해 12위, 1819년의 2위, 1827년의 정해박해 4위, 1839년의 기해박해 18위, 1866년과 1868년의 병인-무진박해 19위, 1888년의 1위로 신유박해 전후의 순교자들이 시복 추진의 중심에 있다. 기해박해와 병인박해의 순교자들은 103위 성인의 추진 과정에 빠졌으나 순교 사실이 새롭게 연구되고 관련 지역에서 현양된 분들이 포함되었다.

1791년 신해박해 3위 - 1791년 12월 8일 한국 천주교회에서 첫 번째로 참수된 윤지충 바오로, 그 뒤를 이은 권상연 야고보는 전주 남문 밖에서 순교하였다. 이로부터 2년 뒤 원시장 베드로는 충청도 홍주에서 매를 맞아 죽음으로써 순교하였다.

1795년 을묘박해 3위 - 윤유일 바오로와 최인길 마티아ㆍ지황 사바는 주문모 신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죽을 때까지 매를 맞으며 자신들의 목숨을 주님께 바쳤다.

1797년 정사박해 8위 - 정사박해로 인해 이도기 바오로는 1798년에 충청도 정산에서, 방 프란치스코와 박취득 라우렌시오는 1799년에 홍주에서, 정산필 베드로는 같은 해 덕산에서 순교하였다. 또한 1799년에 원시보 야고보, 1800년에는 배관겸 프란치스코가 청주에서 순교하였다. 같은 해 인언민 마르티노와 이보현 프란치스코는 해미에서 순교하였다.

1801년 신유박해 53위 - 124위 중 가장 많은 순교자를 낳은 박해는 역시 신유박해이다. 이해 3월 조용삼 베드로가 경기도 감영에서 옥사하였다. 4월에는 최창현 요한ㆍ정약종 아우구스티노ㆍ홍교만 프란치스코 하비에르ㆍ최필공 토마스ㆍ홍낙민 루카가 서소문 밖에서 순교하였다. 같은 날 처형된 이승훈 베드로는 아직 순교 사실에 대한 이론이 있으며, 그 역사적이고 신학적인 연구가 끝나지 않아 현재 시복 대상에 빠져 있다.
같은 해 4월 최창주 마르첼리노ㆍ이중배 마르티노ㆍ원경도 요한은 경기도 여주에서, 윤유오 야고보는 경기도 양근에서 순교하였다. 5월에는 최필제 베드로ㆍ윤운혜 루치아ㆍ정복혜 칸디다ㆍ정인혁 타데오ㆍ정철상 가롤로가 서소문 밖에서 순교하였다. 음력 4월 초에는 심아기 바르바라가 포도청에서 매를 맞아 순교하였다. 1801년 5월 31일 조선의 선교사로서 첫 번째로 주문모 신부가 군문 효수형의 판결을 받고 새남터에서 장렬하게 순교하였다.
같은 해 7월 강완숙 골롬바ㆍ강경복 수산나ㆍ김현우 마태오ㆍ문영인 비비안나ㆍ김연이 율리아나ㆍ이현 안토니오ㆍ최인철 이냐시오ㆍ한신애 아가타가 서소문 밖에서 순교하였다. 윤점혜 아가타와 정순매 바르바라는 그해 7월 양근과 여주에서 각각 순교하였다. 음력 5월에는 김이우 바르나바가 서울 포도청에서, 이국승 바오로는 공주에서 순교하였다. 8월에는 김광옥 안드레아가 예산에서, 김정득 베드로는 대흥에서, 한정흠 스타니슬라오는 김제에서, 김천애 안드레아는 전주에서, 전라도 무장에서는 최여겸 마티아가 순교하였다.
같은 해 10월 김종교 프란치스코와 홍필주 필립보가 서소문 밖에서 순교하였다. 같은 달 전주에서는 유항검 아우구스티노ㆍ윤지헌 프란치스코가 용감하게 신앙을 증거하며 순교하였다. 11월에는 유중철 요한(이순이 루갈다와 동정부부)과 유문석 요한이 전주에서 순교하였고, 12월에는 현계흠 바오로가 서소문 밖에서 순교하였다.
1802년 1월(음력 1801년 12월)에 김사집 프란치스코가 청주에서 순교하였다. 같은 달 손경윤 제르바시오ㆍ이경도 가롤로ㆍ김계완 시몬ㆍ홍익만 안토니오가 서소문 밖에서 순교하였다. 역시 같은 달 정광수 바르나바는 여주에서, 한덕운 토마스는 남한산성에서, 황일광 시몬은 홍주에서, 홍인 레오는 포천에서, 권상문 세바스티아노는 양근에서, 이순이 루갈다와 유중성 마태오는 전주에서 순교하였다.

을해박해 직전인 1814년 12월 해미에서는 성 김대건 신부의 증조부 김진후 비오가 옥사하였다.

1815년 을해박해 12위 - 음력 4월에 김윤덕 아가타막달레나가, 음력 5월에는 김시우 알렉시오와 최봉한 프란치스코가, 그해 말엽에는 서석봉 안드레아가 대구에서 순교하였다. 김강이 시몬은 12월에 원주에서 순교하였다. 김희성 프란치스코와 구성열 바르바라ㆍ이시임 안나ㆍ고성대 베드로와 고성운 요셉 형제ㆍ김종한 안드레아와 김화춘 야고보는 대구에서 12월에 순교하였다.

1819년 8월에는 조숙 베드로와 권 데레사 동정부부가 서울에서 참수되어 순교하였다.

1827년 정해박해 4위 - 6월에 전주에서 이경언 바오로가 순교하였고, 11월에는 박경화 바오로, 12월에는 김세박 암브로시오가 대구에서 옥사로 순교하였다. 1835년에는 안군심 리카르도가 대구에서 옥사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 18위 - 5월에 대구에서 이재행 안드레아ㆍ박사의 안드레아ㆍ김사건 안드레아가 순교하였다. 같은 달 전주에서 이일언 욥ㆍ신태보 베드로ㆍ이태권 베드로ㆍ정태봉 바오로ㆍ김대권 베드로가 순교하였다. 9월에는 최해성 요한이 원주에서 순교하였다. 10월에 김조이 아나스타시아, 11월에 심조이 바르바라가 전주에서 옥사하였다. 12월에 김조이의 어린딸 이봉금 아나스타시아는 옥에서 교수되어 순교하였다. 같은 달 원주에서 최 비르지타가 교수형으로 순교하였다.
1840년 1월 홍재영 프로타시오ㆍ최조이 바르바라ㆍ이조이 막달레나ㆍ오종례 야고보가 전주에서 순교하였다. 최양업 신부의 모친 이성례 마리아는 같은 달 당고개에서 순교하였다.

1866년 병인 박해 19위 - 3월에 청주에서 오반지 바오로가, 대구에서 신석복 마르코가 순교하였다. 12월에는 공주에서 김원중 스테파노가 순교하였다. 청주에서 순교한 장 토마스와 경상도 함안에서 순교한 구한선 타데오는 1866년 어느 달에 순교하였는지 확인되고 있지 않다. 병인박해는 가장 혹독한 박해였기 때문일 것이다.
1867년 1월에는 진주에서 정찬문 안토니오가, 통영에서 김기량 펠릭스베드로가, 상주에서 박상근 마티아가 순교하였다. 같은 해 서울에서 순교한 송 베네딕토와 베드로, 이 안나 가족 순교자 역시 어느 달에 순교하였는지 확인되고 있지 않다.
1868년 여름에는 동래에서 이정식 요한과 양재현 마르티노가, 9월에는 이양등 베드로와 김종륜 루카ㆍ허인백 야고보가 울산에서 순교하였다. 같은 달 박 프란치스코와 오 마르가리타 부부 순교자가 경기도 죽산에서 순교하였다. 10월에는 박대식 빅토리노가 대구에서 순교하였다.

1888년 4월에는 신앙의 자유가 생겼지만 지방의 인식 부족으로 진주에서 윤봉문 요셉이 순교하였다.

'날쩍이 > 쓰다보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이름짓기 좋은 자료~  (0) 2009.05.06
기억하자  (0) 2009.03.21
방송용카메라와 영화카메라의 차이점  (0) 2008.09.13
필름의 종류  (0) 2008.09.13
그러니까 그게 말예요.  (0) 2008.09.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