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다보면 - scraped/바람결 - information

LCD패널의 종류와 방식... 장단점들...

DOUGH 2009. 7. 30. 14:21

 

LCD를 손가락으로 눌러서 확인하는건 LCD 방식을 확인하는거라 봐야겠습니다...

LCD에 대해 알아보니 패널의 방식은 TN, IPS, VA 방식으로 나뉘어집니다...

한국 디스플레이 정보학회에서 공시한 자료에 따르면 각 패널방식은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TN방식은 Fujitsu(社)의 기술로 낮은 구동 전압과 빠른 응답 시간을 장점으로 하지만, 광학

투과율이 낮고 시야각이 좁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빛이 새는 문제로 인해 광학필름을 적

용하게 되므로 이러한 방식은 IPS나 MVA 모드 보다 절대적으로 화질이 떨어진다고 합니

다...

IPS 방식은 Hitachi IBM 계열의 패널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투과율 균일도가 우수하

고 광학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도 광 시야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18인치 급 이상의 전문/

고급 LCD에서 가장 주종을 이루는 방식이랍니다. 단점으로는 장시간 정지화상 고정시의 잔

상 문제와 타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응답 속도입니다.

마지막으로 VA방식은 Fujitsu(社)의 MVA 방식, IBM 산요사의 PVA 방식, 샤프의 ASV 방식

등이 있으며, ASV 방식의 경우 낮은 응답속도의 장점을 보여준답니다. 그러나, VA 방식의

경우 위상차와 빛 샘으로 인해 셀과 편광판 사이에 위상차 필름을 사용해야만 하기 때문에

투과율이 저하되고,특히 외부 압력이 작용시에 액정 동력학의 문제로 균일성과 안정성이 떨

어진답니다.

LG와 삼성의 액정을 눌렀을때의 번짐현상에 대한 이야기는 결국 LCD 방식차이에 있습니

다...

삼성 제품은 SUPER-PVA 방식이니 VA 계열이구요 위에 적은바와 같이 외부압력에 대해서

는 균일성과 안정성이 떨어진다고도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지화면의 잔상문제라던

가 응답속도에서 유리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각 매장에서 설명을 듣게 되면, LG는 외부압력에 안정적인게 기술력이란 이야기를 하는것

이고, 삼성은 오히려 부드러운 색표현이 가능하고, LCD 모니터도 고가제품들은 삼성제품같

이 손가락으로 눌린 흔적이 천천히 사라진다고 말합니다...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IPS 방식이 좋은건지, PVA가 좋은건지 알기 어렵습니다...

다만 저는 게임을 즐기기에 빠른 응답속도쪽이 더 유리한 조건이네요...

TV 시청중에 손으로 눌러볼 일이란게 있을리 없으니깐요...

뭐 누군가 누른다면 눌리기 전에 일단 화면이 가리겠죠...^^;

원문출처 : [카페] "소니브라비아&샤프아쿠오스 FULLH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