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다보면 - scraped

임윤찬 2024 proms

DOUGH 2024. 8. 12. 15:23

그의 음악을 더 잘 듣기 위해 공부한다. 음악기호: 빠르기

 

 

<<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at proms2024 >>

 

제1악장. 알레그로

Duration: 19 minutes and 4 seconds.

내림마장조, 4/4 박자, 독주 협주곡풍 소나타 형식, 20분 소요.

제1악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연주 시간은 약 20분 정도로 매우 방대하며, 다른 어떤 악장보다 두 배 이상 길다.

관례와는 달리, 제1악장은 갑작스런 피아노 독주로 시작하고 있는데, 이 부분은 도입부에 해당된다. 카덴차로 시작되고 있으며, 화려한 기교로 이루어졌다. 이 도입부는 내림마장조의 주요 3화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음계, 트릴, 옥타브 등 다양한 기교로 펼쳐진다. 이러한 형식은 슈만, 리스트, 차이콥스키 등 낭만파 음악가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10]

도입부 카덴차 1~10 내림마장조
제1제시부 제1주제-경과구-제2주제-경과구-코데타 11~110 내림마장조-내림마장조-내림마장조-내림마단조-내림마장조
제2제시부 제1주제-경과구-제2주제-경과구-코데타 111~265 내림마장조-내림마장조-나단조-내림마장조-내림나장조
발전부 - 266~361 사장조로 시작해서 끊임없는 전조를 통해 발전된다
재현부 도입부-제1주제의 재현-경과구-제2주제의 재현-경과구 362~496 내림마장조-내림마장조-내림가장조-올림다단조-내림마장조
종결부 코다 497~581 내림마장조

제1악장의 구성구조 구성 마디 조성

제시부는 전통적인 독주 협주곡의 양식에 따라 먼저 오케스트라에서 제시를 하고 피아노가 참가한다. 제2주제는 최초에 단조로 제시되었다가 본래의 장조로 이행되고 있지만, 제1제시부(오케스트라 제시부)의 경우 동주단조의 내림마단조로 제시되었다가 본래의 내림마장조로, 제2제시부(독주 제시부)의 경우 원격조의 나단조로 제시되었다가 본래의 관계조(내림나장조)로 이행되고 있다. 코데타는 제1주제를 전체 합주로 힘차게 발휘하며 화려하게 제시부를 마무리 한다.

발전부(전개부)는 목관이 제1주제를 연주하면서 시작, 호쾌하게 협주하면서 제1주제를 중심으로 전개해 간다.

재현부는 도입부로부터 재현되지만, 주제의 재현 자체는 형식대로인 것이 되고 있다.

코다에 들어가는 곳에서는 독일어로 카덴차는 불필요하다는 취지의 베토벤에 의한 지시가 있다.

제2악장. 아다지오 운 포코 모소

Duration: 7 minutes and 0 seconds.

나장조, 4/4 박자(헨레 버전에서는 2/2 박자), 변주곡 형식, 7분 소요.

제1악장과는 대조적으로 차분하면서도 온화하게 흐름을 이어가는 악장으로, 베토벤이 남긴 가장 심오하고 감동적인 음악 가운데 하나이다.

전체는 3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3부는 제1부의 변주이다. 제2부를 제1부의 변주로 해석한다면, 제2부가 제1변주, 제3부가 제2변주의 변주곡 형식이며, 그렇게 해석하지 않는다면, 제2부를 중간부로 한 복합 3부(세도막) 형식이다.

악장은 약음기를 붙인 바이올린으로 먼저 연주되고 있는데, 여기에서는 환상적인 분위기가 감돈다. 이후 피아노가 절묘한 움직임을 더해 변주되어 가고, 악장의 마지막에서는 다음 악장의 주제가 내림마장조의 피아노로 암시되어 끊김없이 그대로 제3악장으로 넘어간다. 덧붙여서, 이 부분에서는 두 개의 호른이 계속해서 같은 음을 계속 불고 있다.

베토벤의 지금까지의 협주곡에서는, 제2악장에서 목관악기의 일부, 또는 모두가 등장하지 않았지만, 이 협주곡에서는 모두가 등장하고 있다.

제3악장. 론도 - 알레그로 마 논 트로포

Duration: 9 minutes and 18 seconds.

내림마장조, 6/8 박자, 소나타 형식, 10분 소요.

제3악장은 제2악장에 이어 끊김없이 연결된다. 전 악장의 마지막에 암시된 주제가 이 악장에서 다시 등장, 약동감 있는 독주의 피아노로 분명히 연주되고 있는데, 이는 론도 주제가 된다. 이 주제는 왼손의 경우 3박이 2개, 오른손의 경우 2박이 3개라고 하는 독특한 것으로, 이상한 어색함이 오히려 귀를 끌어당긴다. 그 뒤 오케스트라가 이 주제를 반복하고, 피아노가 기교적인 패시지를 내보낸 후 경쾌한 부주제를 연주한다. 론도 주제의 전개 등이 이어지고 나서는 새로운 주제도 나와 화려하게 정점을 쌓는다. 이 근처에서는 피아노의 화려한 음의 움직임이 주목할 만 하다.

피아노 트릴이 이어진 후에는 론도 주제, 부주제가 재현된다(재현부의 앞에서는 제2악장의 끝, 즉 3악장의 제시부 앞 부분을 회상하고 있다). 그 후 코다로 이어지고 피아노가 활기차게 연주해 나가지만, 마지막에 가서 피아노와 팀파니만이 남아 점점 사라지게 된다(여기에서는 팀파니가 막바지에 동음으로 반주하는 가운데 피아노가 가라앉아 가는 부분이 굉장히 인상적이다). 그러다가 소생한 듯이 힘이 되돌아오고, 피아노가 들을 만 한 장면을 만들고 나면, 웅대하게 곡이 끝맺어진다.

피아노와 관현악이 경쟁하는 협주곡 특유의 묘미를 만끽할 수 있는 이 박진감 넘치는 피날레는, 다른 협주곡에서 볼 수 있듯이 같은 주제가 여러 번 연주되고 론도 형식의 풍체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론도라고 불릴 수 있겠지만, 형식적으로는 완전히 소나타 형식의 요건을 갖추고 있으므로 론도풍 소나타 형식이라고 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악장 구성 참조: 위키백과

 

 

복사: https://blog.naver.com/albertx/100065103645

1. 빠르기말

    * 느린 템포

        > Larghissimo(라르기시모) : Largo보다 더욱 느리게
        > Largo (라르고) : 폭이 넓고 느리게
        > Grave (그라베) : 느리고 장중하게
        > Lento (렌토) : 느리게
        > Larghetto  (라르게토) : Largo보다는조금 빠르게
        > Adagio (아다지오) : 느리게
        > Adagietto (아다지에토) : adagio보다는 조금 빠르게


    * 중간 템포

        > Andante (안단테) : 느린 걸음걸이의 빠르기로
        > Andantino (안단티노) : Andante보다는 조금 빠르게
        > Moderato (모데라토) : 보통 빠르기로


    * 빠른 템포

        > Allegretto (알레그레토) : Allegro보다는 조금 느리게
        > Allegro (알레그로) : 빠르게
        > Vivace (비바체) : 급속히 빠르게
        > Presto (프레스토) : 매우 빠르게
        > Vivacissimo (비바치시모) : vivace보다 더욱 빠르게
        > Prestissimo (프레스티시모) : presto보다 더욱 빠르게, 아주 빠르게


    * 그 외의 빠르기 느낌을 표현한 말

        > Mosso (모쏘) : 활기있게
        > Vivo (비보) : 빠르고 활기있게
        > Animato (아니마토) : 활기있게
        > Maestoso (마에스토소) : 장엄하게
        > Sostenuto (소스테누토) : 음길이를 충분히 이끌어서


    ※ ~issimo : 강조의 뜻으로 "더욱 ~하게"의 뜻
    ※ ~etto, ~ino : 더욱 약하게 하는 뜻으로 "보다 약한 ~로"의 뜻


2. 빠르기 말에 붙여쓰는 말

    - molto (몰토) : 더욱, 매우
    - assai (아싸이) : 대단히, 매우
    - di molto (디 몰토) : 대단히
    - un poco (운 포코) : 조금
    - poco (포코) : 조금
    - poco a poco (포코 아 포코) : 조금씩 조금씩
    - non tropp (논 트로프) : 지나치지 않게
    - non tanto (논 탄토) : 지나치지 않게
    - con (콘) : ~을 가지고
    - meno (메노) : 보다 적게
    - piu (피우) : 더욱
    - sempre (셈프레) : 항상
    - ma (마) : 그러나
    - quasi (콰지) : ~처럼
    - subito (수비토) : 갑자기


    * 예제

        > Allegro molto : 매우 빠르게
        > Allegro assai : 대단히 빠르게
        > Sempre allegro : 항상 빠르게
        > Poco a poco allegro : 조금씩 조금씩 빠르게, 점차 빠르게
        > Allegro ma non tropp : 빠르게 그러나 지나치지 않게
        > Lento non tanto : 느리나 지나치지 않게
        > Meno Allegro : 조금 덜 빠르게
        > Allegro quasi andante : andante와 같이 느리게 그러나 경쾌하게



3. 빠르기를 변화시키는 말

    * 빠르기를 더하는 말

        > 점점 빨라짐

            - accelerando[accel.] (아첼레란도) : 점점 빠르게
            - stringendo[string.] (스트린겐도) : 점점 빠르게
            - poco a poco animato (포코 아 포코 아니마토) : 조금씩 점점 빠르게

        > 갑자기 빨라짐

            - piu mosso (피우 모소) : 더욱 빠르게
            - piu vivo (피우 비보) : 더욱 빠르게

    * 빠르기를 늦추는 말

        > 점점 느려짐

            - ritardando[rit.] (리타르단도) : 점점 느리게
            - rallentando[rall.] (랄렌탄도) : 점점 느리게
            - slentando (슬렌탄도) : 점점 느리게
            - ritenuto (리테누토) : 빠르기를 억제해서

        > 갑자기 느려짐

            - meno mosso (메노 모소) : 빠르기를 늦추어서
            - piu adagio (피우 아다지오) : 더욱 느리게

        > 느려지면서 세지는 것

            - allargando[allarg.] (알라르간도) : 느려지면서 점점 세게
            - largando[larg.] (라르간도) : 느려지면서 점점 세게

        > 느력지면서 여려지는 것

            - morendo (모렌도) : 사라지듯이
            - smorendo (스모르렌도) : 사라지듯이
            - smorzando (스모르짠도) : 사라지듯이
            - perdendosi (페르덴도시) : 사라지듯이
            - calando (칼란도) : 점점 평온하게


3. 빠르기를 자유롭게 하는 말

    - a piacere (아 피아체레) : 연주자의 마음대로
    - ad Libitum[ad lib.] (에드 리비툼) : 연주자의 마음대로
    - rubato (루바토) : 연주자의 마음대로


4. 본디 빠르기로 돌아가게 하는 말

    - a tempo (아 템포) : 본디 빠르기로
    - tempo I [tempo primo] (템포 프리모) : 처음 부분의 빠르기로


5. 그 밖의 빠르기말

    - senza tempo (센자 템포) : 자유로운 빠르기로
    - L'istesso tempo (리스테소 템포) : 같은 빠르기로
    - medesimo tempo (메데시모 템포) : 같은 빠르기로
    - tempo giusto (템포 기우스토) : 정확한 빠르기로
    - tempo di gavotte (템포 디 가보트) : 가보트풍의 빠르기로
    - tempo di marcia (템포 디 마르치아) : 행진곡풍의 빠르기로
    - tempo di menuetto (템포 디 미뉴엣) : 미뉴엣품의 빠르기로
    - tempo di valse (템포 디 발스) : 왈츠풍의 빠르기로

    [출처] 음악이론[1] - 빠르기|작성자 녹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