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치된 '4대강 흙탕물 오염'…영산강도 심각
부유 물질 6.7배 증가…수질자동측정센서 설치조차 안 돼
출처 : 프레시안
4대강 사업으로 영산강 일대의 흙탕물 오염이 심각해졌음에도 불구하고, 공사가 시작된 지 6개월이 지나도록 흙탕물 측정을 위한 수질자동측정센서조차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10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상희 의원(민주당)은 "4대강 공사 이후 영산강의 부유 물질이 최대 6.7배나 증가했으나, 익산지방국토관리청이 공사 전 설치를 약속했던 6개소의 수질자동측정센서는 설치조차 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날 김 의원이 공개환 환경부 수질 측정망 자료를 보면, 전라남도 나주 일대 승촌보 하류의 부유 물질 농도는 지난 2008년 4.3mg/l이었던 것에 비해, 4대강 공사가 시작된 이후인 올해 2월에는 28.8mg/l로 무려 6.7배 이상 증가했다.
죽산보 공사 현장 하류의 부유 물질 농도 역시 지난 2008년엔 9.6mg/l였지만, 올해 2월엔 30.8mg/l로 3배 이상 오염됐다.
ⓒ김상희의원실
이 같은 흙탕물 오염에 대비해, 익산지방국토관리청은 지난해 4대강 사업에 관한 환경영향평가 협의 당시, 6개의 수질자동측정센서를 영산강 일대에 설치한다고 발표했었다. 그러나 이들 수질자동측정센서는 현재까지 설치조차 되지 않았거나, 정상 가동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다시 말해, 지난해 11월 착공 이후 6개월이 지나도록 이제껏 흙탕물 오염에 대비한 실질적인 관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익산지방국토관리청은 5월 이후에야 수질자동측정센서 2개소, 6월 이후 4개소를 가동할 예정이다.
김상희 의원은 "4대강 속도전에 떠밀려 4대강 생태계와 국민의 건강보다는 공기 단축에만 목을 매고 있는 한심한 작태"라며 "환경부는 즉시 환경영향평가 협의 내용 미이행에 대한 조치를 취하고, 수질자동측정센서 설치를 완료한 이후 공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선명수 기자
'Laudato s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운하) 독일 이자강 재자연화 공사 총감독과의 인터뷰 (0) | 2010.05.18 |
---|---|
[스크랩] DAUM 지도와 비교하는 4대강 생생파괴현장!!| (0) | 2010.05.18 |
[스크랩] 6·2지방선거 출마예정자 54% “종교계 4대강 반대운동 지지” (0) | 2010.05.18 |
[스크랩] [한강] 수달을 구해주세요! (0) | 2010.05.18 |
[스크랩] [5/17 기도 소식] 곡기를 끊고 노숙하면서 기도를 한다 (0) | 2010.05.18 |
댓글